 | NIKE FLIGHT ONE NRG WHITE/WHITE-BLACK MADE IN CHINA 520502-110 |
제목 : Flight One NRG "Orlando"
봄이 오는 것을 시샘이라도 하듯이 갑자기 추워진 일요일이었습니다.
늦잠도 자고 만화방도 가고 와이프랑 머리도 하고, 마트도 가고 바쁜 일요일을 보내고
이제서야 잠시 컴 앞에 앉아보네요. 오늘은 힘내서 플라이트원 올랜도 제품은 끝내보려고 합니다,
과연 가능할지 모르겠지만 말이죠.
올스타 모델과 마찬가지로 평범한 나이키 스포츠웨어 박스에 담겨져있습니다.
사실 이 제품의 성격상 특별한 박스를 바라기도 좀 애매한 것이 엄격히 말하자면 올스타 모델도 아니거든요.
그저 일반적인 리트로 제품과 크게 다를 바 없는 제품인지라..
역시 AIR 글자는 빠져있구요. NRG라는 꼬랑지가 붙어있습니다.
NRG 뜻은 앞서 올스타 모델에서 말씀드렸다시피 Energy의 약자이구요.
사실 이 제품은 NRG보다는 Retro라는 꼬랑지가 더욱 잘 어울리는 제품입니다.
박스 택에는 컬러가 흰/검으로 묘사되어있지만 실제 컬러는 흰/검/파가 맞겠지요.
네 그렇습니다. 올랜도의 홈컬러이지요.
이번 올스타전 기념으로 발매된 플라이트원 "올랜도" 제품입니다.
이미 올스타전 끝난지가 몇 주가 지난 시점에서 또 말씀드리긴 뭐하지만, 이 제품이 발매된 배경을 알아야겠죠.
올스타전이 개최된 장소가 올랜도이기에 올랜도의 전설의 레전드 나이키 시그네쳐 플레이어였던
페니 하더웨이의 시그네쳐 슈즈를 재발매한 것입니다. 재발매 품목은 에어 플라이트원, 에어 폼포짓원!
그 중 에어 플라이트원은 올스타 컬러와 올랜도 컬러 두가지가 발매되었습죠.
또 다른 플라이트원인 올스타 컬러 제품이 올랜도 지방의 NASA 연구소의 컨셉을 채택한 반면,
이 올랜도 컬러는 OG컬러에 충실하게 제작되었습니다. 한마디로 이번 올스타전 컨셉인 갤럭시와는 다른
순수한 리트로 모델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네요. 갤럭시 컨셉을 신발에서 찾을 수가 없습니다.
1995년도에 발매한 에어 플라이트원은 페니의 공식적인 시그네쳐가 시작되기 전의 비공식적인 페니의
첫 시그네쳐 슈즈라고 이해하시면 되는 신발입니다. 페니와 솔콜렉터의 인터뷰 전문을 보면 페니가 이 신발에
꽤나 애착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게 되는데요. 처음으로 나이키에서 지급받았던 페니 시그네쳐 슈즈라는 점과
이 신발을 착용하고 시카고 불스를 플레이오프 시리즈에서 이겼다는 점을 의미있게 생각하더군요.
나이키에서 괜히 리트로한 게 아니라 다 이유가 있어서 리트로 한 것이라능.
화려했던 올스타 컬러와는 달리 흰/파/검의 올랜도 홈컬러를 아름답게 재현해냈습니다.
리트로의 묘미라는 것이 참 이런 것이죠. 잊혀졌던 신발이 다시 되살아나 그 당시의 추억을 상기시켜준다능..
아마 제 기억으로는 이 컬러가 국내에서는 미발매였을거예요. 올검 컬러의 플라이트원은 많이 봤었는데
이 컬러는 당시에 한국에서 봤던 기억이 없네요. 실제 페니가 NBA경기에서 착용했던 플라이트원은
총 세가지 컬러정도 되더군요. 올검, 흰검파, 흰검 이렇게 세가지입니다.
사실 페니가 이 제품을 착용하기 전에 많은 나이키 신발을 착용했었습니다. 겨우 2년차 시즌이었지만
Air Go LWP, Air UP 등의 신발을 착용하였지만, 아마 이 신발을 가장 애착이 있게 생각하는 이유는 바로 저
힐의 1번이 달린 고리 때문일겁니다. 페니의 등번호인 1번이 아로새긴 신발. 농구선수로서는 최고의 영광이겠죠.
당시에 나이키의 시그네쳐 슈즈를 공급받던 스타 플레이어들을 떠올려봐도 얼마나 대단한지 알 수 있습니다.
마이클 조던, 찰스 바클리, 데이빗 로빈슨 등등...그야말로 명예의 전당급 선수들이니 ㄷㄷㄷ
그런 대접을 리그에 갓 데뷔한 페니가 받게 되다니 말이죠.
리트로 슈즈라고 하지만, 최근의 나이키의 리트로 발매정책을 생각해보면 절대로 OG와 동일하게 뽑아내지 않았을 것 같아서 구글링한 OG제품과 차이점을 마구마구 비교해봤죠. 그래서 간신히 찾은 차이점! 뭔지 아시겠나요?
바로 저 조그마한 색히 스우쉬의 컬러가 OG와 다르답니다. OG는 스우쉬 몸통이 파란색이고 테두리가 하얀색인데,
리트로는 몸통이 하얀색이고 테두리가 파란색입니다. 진짜 얼핏보면 알아차리기 힘든 차이점인데 ㄷㄷㄷ
그 외의 차이점은 찾지를 못했네요 ㅠ.ㅠ 그래도 이 정도의 차이점이라면 양호한 수준이네요.
이 제품 연식이 꽤 되었던 리트로인지라, Zoom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전이지요. 그래서 그런지 간단한 스우쉬와
나이키 에어로고 외에는 별다른 마크를 찾아내기가 힘듭니다. 귀차니즘에 찍지는 않았지만 깔창은 플라이트 로고 ㅋ
제품명에서 이미 아셨겠지만 이 제품은 Flight群에 속해있는 신발입니다.
가드나 빠른 포지션 플레이어를 위한 신발로 주요 고객들이 페니, 키드, 핍 등이었죠.
페니도 에어페니 시리즈가 시작되기 전에는 이런 플라이트群의 제품을 착용하였습니다.
페니의 첫 비공식적 시그네쳐 슈즈 였다는 점 외에도 나이키의 농구화 역사중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.
중창과 발목의 어퍼에 있는 타원형의 조형물은 이후 줌플라이트 시리즈 디자인에 큰 영향을 주었지요.
대표적으로 키드의 시그네쳐이자 KBL의 머스트해브 아이템인 줌플라이트5 시리즈의 중창 파리 눈알을 비롯해서
여러 농구화들이 저 외측 중창에 많은 보형물 내지는 지지대를 장착하게 되었습니다.
그리고 저 두툼한 중창안에 들어있는 텐실에어 (Tensile Air)는 줌에어로 발전하게 되니
플라이트원은 90년대 이후 줌에어 전성기의 시초인 셈이죠.
전설의 레전드가 될 거라고 믿어 의심치 않았던 페니 하더웨이. 조던과 페이스업하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건만
올랜도의 전성기 시절을 뒤로하고 피닉스, 뉴욕, 마이애미를 끝으로 NBA 커리어를 마감하게 됩니다.
고질적인 부상으로 인해 어쩔 수 없는 결정이었지만 올랜도 시절의 그의 플레이는 환상 그 자체였죠.
심지어 슬램덩크의 정우성의 모티브가 되었던 페니 하더웨이. 아직도 1번이 가장 어울리는 선수는 페니입니다.
조던의 1차 은퇴 이후의 나이키의 대표적인 시그네쳐 플레이어가 될 수 있었던 페니.
그의 시리즈는 플라이트원 이후 에어페니1-에어페니2-에어폼포짓원-에어페니3-에어페니4에서 마감됩니다.
하지만 계속 페니의 신발이 리트로되고 있고 고가에 거래가 되고 있는것을 보니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수 있습니다.
뭐 멀리 가지 않아도 에어폼포짓원 갤럭시만 봐도 스니커계의 불모지인 한국에서도 100만원을 수월하게 넘기니 휴
과연 무슨 에어가 들어가 있는 걸까요. OG는 텐실에어가 들어가 있지만 이 리트로는 도통 스펙을 알수가 없네요.
여기저기 검색을 해봐도 그냥 리트로된다는 말만 있고, 쿠셔닝 스펙을 알 수 있는 경로가 없어서 아쉬울 따름입니다.
아마 줌에어를 집어넣지 않았을까 싶은데 까보질 않으니 알수가 없네요
올스타 컬러에서는 발광으로 휘황찬란하던 아웃솔을 이렇게 보니 색다르군요,
전족부와 힐 부위에는 해링본 패턴의 아웃솔이 있구요. 아치 부분에는 파란색의 스우쉬가 있습니다.
전족부에 있는 타원 2개는 어퍼에 있는 타원의 그 놈이군요. ㅋ
올스타 컬러만 구매하고 이 제품은 구매안하려고 했는데 이 고운 자태를 보니 그냥 넘어갈 수가 없었습니다 ㅠ.ㅠ
아마 이번 올스타 발매 때 나오지 않고 다른 시기에 리트로되었다면 더 많은 인기를 끌었을텐데요.
너무나도 구매할 신발이 많아서 이 제품도 은근히 발매 당일 품절되지 않았지요.
올스타와 올랜도 컬러입니다. 이번 올스타전이 올랜도에서 개최되지 않았더라면 볼 수 없었던 제품들이군요.
나이키에 감사해야할지, NBA사무국에 감사해야할지 모르겠군요. 그런데 이번 올스타전 개최지인 올랜도의
홈팀인 매직은 주전센터인 하워드를 트레이드한다니 샤크-페니 조합 이후의 또 한 번의 중흥기를 마감하는군요.
수년 후에 올랜도에서 올스타전을 개최한다면 아디다스에서 하워드의 시그네쳐를 이렇게 발매할 수 있을까요?
현역 선수의 올스타 컬러 제품보다 은퇴한 선수의 올스타 컬러 제품이 인기가 더 많다니. 참 재미있습니다.
죽은 제갈공명이 산 사마중달을 물리친다더니 역시 전설의 레전드는 이 정도는 되어야겠죠.
사진 촬영할때는 몰랐는데 이렇게 보니 짝짝이로 착용하고 다니는 것도 꽤 이쁘겠군요.
아마 한 밤중에는 신발 한쪽만 발광하게 될테니 병신같지만 멋있어가 가능할 듯 합니다.
올랜도 컬러와 올스타 컬러의 모티브 차이는 이렇게 혀에서도 바로 알 수 있지요.
순수한 올랜도 컬러의 리트로 모델과는 다른 올스타 컬러의 갤럭시 컨셉은
아마도 스니커계에 길이 길이 남지 않을까 싶어요. 벌써부터 내년 올스타게임 개최지가 궁금해지는군요.
1번이 가장 어울렸던 사내의 뒷태입니다. 저 큼직하고 직관적인 1번. 이후 에어페니 시리즈에서
특유의 1Cent 로고로 바뀌게 되지만, 올드스쿨한 1번의 의미는 이 플라이트원에서만 느낄 수 있습니다.
어둡게 불꺼놓고 찍어보고 싶었지만 역시나 귀차니즘에 포기해버렸습니다.
2월에 구매한 신발들을 아직도 리뷰하고 있는거 보면 진짜 2월은 참 잔인한 달이었습니다 ㅠ.ㅠ
앞으로 상반기는 밀블과 파레가 나오기 전까지는 이렇게 찍어놓은 사진만 보면서 자중하면서 지내려구요.
박스만 좀 더 간지나고 스페셜했더라면 아마 이 녀석의 가치는 더 상승했을텐데 아쉽네요.
그래도 나이키에 고마운건 이 두 제품을 패키지로 묶어서 안 팔고 단품으로 판매해준 점이랄까요?
14.9라는 리테일가격이 이렇게 고마웠던 적은 또 처음이네요.
아마 나이키는 플라이트원과 폼포원의 패키지를 생각하다가 플라이트원 OG컬러 리트로가 결정되면서
패키지의 꿈을 접었던 것은 아닐까요. 아아 생각만해도 오싹합니다. 플라이트원과 폼포원의 패키지 발매라니 ㄷㄷㄷ
더 이상 그의 센스있는 플레이를 볼 수는 없지만, 당시의 그의 모습을 이렇게나마 떠올려봅니다.
올스타 이벤트 게임때 봤던 페니형...살 좀 빼 ㅠ.ㅠ 진짜 예전 모습이 하나도 안 보이더라능..
나도 빼고 있는데 ㅠ.ㅠ
이제 대망의 폼포짓원 갤럭시만 남았군요. 다음주 주말에는 기필코!
늦어져서 죄송하다능 ㅠ.ㅠ
진짜 올랜도 컬러는 이거라구욧!
 | NIKE FLIGHT ONE NRG WHITE/WHITE-BLACK MADE IN CHINA 520502-110 |